'네트워크'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0.02.18 UCINet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2. 2009.11.15 관료제의 쇠퇴와 네트워크의 부상

UCINet을 이용한 네트워크 분석

잉여생산물 2010. 2. 18. 16:42
*2009년 2학기 네트워크사회학 기말고사 리포트로 제출하였던 글입니다..^^
**
아주 기초적이고 허접한 분석 결과이지만, 혹시나 필요로 하는 분들이 계실까봐 글 올려봅니다..

<첫번째 분석>

1. 가설

① 상대방으로부터 수업과 과제에 관련한 질문을 많이 받는 학생은 학점이 좋을 것이다.

② 학점이 좋은 학생들은 주로 같은 학년의 학우들에게 많은 질문을 받을 것이다.

2. 분석방법

① ‘Q6_과제지각 + Q8_학습준비 + Q15_어려운과제’를 add해서 하나의 자료를 만들어 연결정도를 알아보고, 연결정도가 높은(중앙성이 높은) 노드 5개를 선정하여 노드 각각의 성적이 어떤지를 알아본다.

② 연결정도가 높은(중앙성이 높은) 노드 5개와 연결되어 있는 노드들의 학년을 살펴본다.

3. 분석내용

① 연결정도분석(Ucinet > Network > Centrality > Degree)과 학점(속성)


(그림 1 - 1 ‘Q6_과제지각 + Q8_학습준비 + Q15_어려운과제‘를 add한 자료 중 노드의 학점을 표시)

- 위 연결망의 indegree가 높은 사람을 위 연결망의 허브라고 생각하며, 허브에 위치한 상위 5개의 노드들은 상대방으로부터 수업내용과 과제, 시험에 관련하여 많은 질문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위 5개의 노드들이 학우들로부터 질문을 받는 이유는 상위 5개의 노드들이 성적이 좋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다음의 자료는 5개의 노드들이 받은 indegree값과 각 노드들의 성적이다.

‘24 KTH2(값 23, 학점 4.0 이상), 57 KDS(값 22, 학점 4.0 이상), 49 SMJ(값 20, 학점 3.0 이상), 52 PSK(값 20, 학점 3.0 이상), 30 KDH(값 12, 학점 3.0 이상)’

위의 자료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위5개의 노드들은 모두 성적이 3.0 이상이며, 최상위 두 개의 노드들은 성적이 4.0 이상이다. 이로써 학생들은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수업내용과 과제, 시험에 관련하여 질문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② 5개의 허브와 각 노드들 간의 학년 관계


(그림 1 - 2 ‘Q6_과제지각 + Q8_학습준비 + Q15_어려운과제‘를 add한 자료 중 노드의 학년을 표시)

- ①번의 분석에서 알아보았듯이 학우들로부터 수업과 시험, 과제 관련하여 질문을 많이 받는 학생은 성적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면 이 성적우수자들은 어떤 학년의 학생들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는 것일까? 성적우수자가 저학년 학생일지라도 고학년이 저학년 학생에게 수업과 시험, 과제 관련한 질문을 하는 경우는 별로 없을 것이다. 반면에 고학년의 성적우수자에게는 저학년은 물론 고학년인 학생들도 고학년의 성적우수자에게 많은 질문을 할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위의 자료를 보면 ‘24 KTH2’와 ‘30 KDH'는 1학년 학생이며 이 노드들은 같은 학년의 노드들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57 KDS‘, ’49 SMJ‘, ’52 PSK‘는 2학년 학생이며 이 노드들은 1학년, 2학년, 4학년의 노드들로부터 질문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저학년이 성적이 우수하더라도 고학년은 저학년에게 수업과 시험, 과제 관련하여 질문을 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번째 분석>

1. 가설 : 학우들에게 밥을 많이 사주거나 5,000원 이상의 무언가를 사주는 것은 주로 선배일 것이다.

2. 분석방법

①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해서 하나의 자료를 만들어 연결정도를 알아보고, 밥을 많이 사준(화살표를 보낸 값이 높은, outdegree값이 높은) 노드 6개를 선정하여 각각의 노드들이 누구에게 밥을 사주거나 5,000원 이상의 무언가를 해주었는지 알아본다.

②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해서 하나의 자료를 만들어 연결정도를 알아보고, 밥을 많이 얻어 먹은(화살표를 받은 값이 높은, indegree값이 높은) 노드 6개를 선정하여 각각의 노드들이 누구에게서 밥을 얻어먹거나 5,000원 이상의 무언가를 받았는지를 알아본다.

3. 분석내용

① 연결정도분석(Outdegree)과 학번


(그림 1 - 3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4 CDH2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4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53 PSR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5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67 JSY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6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99 JJM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7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102 LMB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8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119 JKJ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 먼저 다음의 자료는 outdegree값이 높은 상위 6개의 노드들의 연결정도분석 값이다.

‘4 CDH2(outdegree : 7), 53 PSR(outdegree : 6), 67 JSY(outdegree : 6), 99 JJM(outdegree : 6), 102 LMB(outdegree : 6), 119 JKJ(outdegree : 6)'

그리고 위의 그림들은 연결정도분석을 통해 밥을 많이 사준(화살표를 보낸 값이 높은, outdegree값이 높은) 상위 6개의 노드들을 선정하여 각 노드의 Ego Network를 학번으로 표시한 그림이다. 즉, 위의 6개의 노드들은 다른 노드들에게 3회 이상 밥을 사주었거나 5,000원 이상의 무언가를 가장 많이 사준 6명의 사람들이라 할 수 있다. 이 6명의 학번을 살펴보면 04학번이 한명, 05학번이 2명, 그리고 07, 08, 09학번이 각각 한명씩 있다. 04학번 한명과 05학번 두 명은 남자이며, 07학번은 여학생으로서 비교적 고학번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고학번에 포함시킨다면 상위 6명 중 4명이 선배의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상위 6개의 노드들 중에 4개의 노드들이 선배의 위치에 있다고 하여 선배가 후배들에게 밥을 많이 사주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동기나 선배들에게 밥을 사주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노드들이 자신보다 후배에게 밥을 사주었는지 동기 혹은 선배에게 밥을 사주었는지 알아보자. 상위 6개의 노드들 중 선배의 위치에 속하는 4개의 노드들의 outdegree를 살펴보니 동기 6, 선배 1, 후배 8의 값이 나온다. 즉, 선배의 위치에 속하는 4개의 노드들의 outdegree의 값들을 살펴볼 때는 처음의 가설대로 주로 선배가 후배들에게 밥을 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연결정도분석(Indegree)과 학번


(그림 1 - 9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4 CDH2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10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5 JHC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11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24 KTH2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12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70 LDJ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13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90 KNK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그림 1 - 14 ‘Q16_밥3회 + Q21_5000원이상’을 add한 자료 중 102 LMB의 Ego Network을 학번으로 표시)

- 다음으로는 밥을 많이 얻어먹은(화살표를 받은 값이 높은, indegree값이 높은) 상위 6개의 자료를 통하여 가설을 검증해보자. 먼저 다음의 자료는 indegree값이 높은 상위 6개의 노드들의 연결정도분석 값이다.

'4 CDH2(indegree : 11), 5 JHC(indegree : 8), 24 KTH2(indegree : 6), 70 LDJ(indegree : 6), 90 KNK(indegree : 6), 102 LMB(indegree : 6)'

그리고 위의 그림들은 연결정도분석을 통해 밥을 많이 얻어먹은(화살표를 받은 값이 높은, indegree값이 높은) 상위 6개의 노드들을 선정하여 각 노드의 Ego Network를 학번으로 표시한 그림이다. 즉, 위의 6개의 노드들은 다른 노드들에게 3회 이상 밥을 얻어먹었거나 5,000원 이상의 무언가를 가장 많이 받은 6명의 사람들이라 할 수 있다. 이 6명의 학번을 살펴보면 05학번이 한명, 06학번이 한명, 그리고 07학번이 한명, 09학번이 세 명이다. 밥을 많이 얻어먹은(화살표를 받은 값이 높은, indegree값이 높은) 상위 6개의 노드들 중 3개의 노드가 09학번인 후배의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상위 6개의 노드들 중에 3개의 노드들이 후배의 위치에 있다고 하여 후배들이 선배들에게 밥을 많이 얻어먹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동기에게서 밥을 얻어먹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노드들이 자신보다 선배에게 밥을 얻어먹었는지 동기에게 밥을 얻어먹었는지 알아보자. 상위 6개의 노드들의 indegree를 살펴보니 밥을 얻어먹은 상대가 선배21, 동기 8, 후배 2의 값이 나온다. 즉 선배에게서 밥을 가장 많이 얻어먹었거나 5,000원 이상의 무언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즉, 처음의 가설대로 주로 선배가 후배들에게 밥을 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단, 위의 연결정도 분석의 값과 그림에 나타난 화살표의 개수는 Netdraw에서 isolates를 제거하였기 때문에 다르게 나타나는 것임)

*참고자료*

- 김용학, 2003,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 김용학, 2003,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2002, <링크>, 동아시아

- http://cafe.naver.com/profsoc.cafe(네이버 카페)


:

관료제의 쇠퇴와 네트워크의 부상

잉여생산물 2009. 11. 15. 18:23
'네트워크 사회학' 시간에 발표한 자료입니다..^^

제목 : 관료제의 쇠퇴와 네트워크의 부상
부제 : 연결망(네트워크) 사회의 출현이 관료제에 미치는 영향

※ 이번 시간에 알아볼 내용..
  1) 네트워크(연결망) 사회의 출현이 현대 사회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2) 네트워크 사회의 출현이 관료제에서 탈관료제로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 연결망 사회의 출현 및 결과
  1) 연결망 사회의 출현
    ① 9ㆍ11테러 - 9·11 미국 테러에는 빈 라덴을 중심으로 하여 전 세계에 걸친 알케이더 테러리스트 네트워크가 배후에 있음
    ② 리먼사태 - 작년 이맘때의 리먼 사태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국가 간 자본 흐름의 연결망이 한 나라의 경제적 흥망에 영향을 미침
    ③ 이동통신회사의 마케팅 전략 - 이동통신 회사는 누가(어떤 종류의 사람들이) 누구에게 전화를 자주 거는지의 네트워크를 파악하여 마케팅에 활용
    ④ 인도네시아의 반정부 학생운동조직 - 인도네시아의 반정부 학생운동조직은 한국의 경험 많은 학생운동조직과 연계하여 정보와 조언을 얻는 연결망을 구축

  2) 연결망 사회 출현의 결과
    ① 경계 넘기ㆍ경계 무너뜨리기(수평적 변화) - 경 제적인 분야에서의 경계 무너짐의 예로는 초국적 자본은 컴퓨터 자판을 몇 번만 두드리면 국가 경계를 단 몇 초 만에 넘나든다. 정치적 측면에서도 EU, OECD, WTO 등과 같은 세계적인 기구들이 국제정치의 폭을 확대하면서 단위 국가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있다.
    ② 권력이동(수직적 변화)(단, 중앙의 권력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중앙의 상대적인 권력이 줄어드는 것) - 권 력관계는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연결망 사회의 출현으로 인해 연결망이 형성되고, 변방에 위치한 행위자들에게 정보나 자원의 획득의 기회가 주어지면서 중앙으로 집중되었던 권력을 분산시켜 권력이동을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중앙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중앙의 상대적인 권력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 관료제(Bureaucracy)란..
  1) 관료제의 특징
    ① 고도의 계층제 - 엄격한 수직적 업무배분, 상하간 지배복종체계의 성격을 띰
    ② 법규에 의한 지배 - 합법적으로 제정된 법규에 의한 지배
    ③ 문서주의와 공사분리 - 문서위주의 행정을 실시하며 관청과 사택을 근본적으로 분리하여 공․사를 명확히 구분
    ④ 전문지식 - 전문적 직무활동을 강조
    ⑤ 직업의 전업화 및 전임직 - 직무상의 활동은 관료의 전노동력을 요구(겸직금지)
    ⑥ 몰인간성 및 공평성 등 - 관료는 감정과 편견없는 평등사상에 입각하여 비개인적이고 객관적으로 업무수행

  2) 관료제의 역기능
    ① 동조과잉ㆍ수단의 목표화 - 관료는 목표가 아닌 수단(규칙․절차)에 지나치게 영합․동조함으로써 창의력 결여 등의 부작용 초래
    ② 번문욕례ㆍ형식주의 -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문서에 의한 업무처리는 문서다작주의를 초래
    ③ 인격ㆍ인간성의 상실 - 법규위주의 지나친 몰인정성․몰인간성은 조직내의 인간관계를 저해하고 냉담과 무관심․불안의식 등으로 나타나 인격상실을 초래
    ④ 전문화로 인한 무능 - 전문가는 타분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할거주의나 국지주의를 초래
    ⑤ 무사안일주의와 상급자의 권위에 의존 - 문제해결에 적극적․쇄신적 태도를 갖지 못하고 상급자의 권위나 선례에만 의존
    ⑥ 할거주의 등 - 관료들이 자기가 속하고 있는 기관․부처․국․과만을 종적으로 생각하고 타부처 국․과에 대한 배려가 없어 횡적인 조정․협조가 곤란

※ 새로운 환경에 적응 못하는 관료제(밑줄 친 부분이 현대 사회에 필요한 기능이며 탈관료제의 특징임)  
  1) 조직의 권한을 법령으로 규정하는 것은 신축적인 행정 처리를 저해
  2) 계층제를 상하간의 분업이나 협동의 체제가 아닌 지배ㆍ복종의 체제로 인식(권위주의적 행정문화)
  3) 'Specialist가 되기 위해서는 Generalist가 되어야 한다'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자기 분야의 것만을 아는 것이 아니라 관련 업무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 많은 지식을 가지고 난 후에 자기 분야에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
  4) 급변하는 사회에 대한 적응력 확보를 위해 기계적ㆍ집권적ㆍ정태적인 관료제보다 유기적ㆍ분권적ㆍ동태적인 탈관료제가 필요
  5) 복합적인 문제에 대한 횡적인 조정ㆍ협조가 곤란

※ 네트워크 사회의 출현과 탈관료제(네트워크 사회의 출현이 관료제에서 탈관료제로 변화하는데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조직에 활용하는 탈관료제 조직이 더욱 발전하며 지속될 것으로 보임)
  1) 경계 넘기ㆍ경계 무너뜨리기(수평적 변화) → 횡적인 조정ㆍ협조, Generalist
  2) 권력이동(수직적 변화) → 분권적(명령ㆍ지시보다는 정보의 제공이나 권고), 상하간의 분업이나 협동적 체제

※ 관료제에서 탈관료제로의 예 '삼성그룹 관련 조선닷컴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