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와 사회운동
잉여생산물 2009. 11. 19. 11:13'몸의 사회학 조별 발표'를 위해 제가 속한 조가 발표한 자료 입니다..^^
<목차>
•GMO란 무엇인가?
•GMO의 실태
•GMO의 두 가지 미래
•유전자의 변형 과정
•유전자의 변형 과정에 대한 논의
•GMO의 위험성에 대한 논의
•GMO, 정말 안전한 것일까?
•GMO의 실제 피해 사례
•GMO를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
•결론
<목차>
•GMO란 무엇인가?
•GMO의 실태
•GMO의 두 가지 미래
•유전자의 변형 과정
•유전자의 변형 과정에 대한 논의
•GMO의 위험성에 대한 논의
•GMO, 정말 안전한 것일까?
•GMO의 실제 피해 사례
•GMO를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
•결론
•
<내용>
•GMO란 무엇인가?
- GMO란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약자로, 유전자 변형 생물체, 유전자 변형 식품, 유전자 재조합 작물 등의 의미.
<내용>
•GMO란 무엇인가?
- GMO란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약자로, 유전자 변형 생물체, 유전자 변형 식품, 유전자 재조합 작물 등의 의미.
- 생물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Gene)의 일부를 변형하여, 인위적으로 원하는 특성을 지니도록 만든 생물체.
- GMO 식품은 발전 정도에 따라 1세대, 2세대, 3세대로 분류하기도 함. (RAFI, 2OOO)
•GMO의 실태
- 현재 GMO 식품의 3/4 가량이 모두 미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나머지는 아르헨티나와 캐나다에서 생산 됨.
- 현재 한국 내의 콩과 옥수수는 대부분이 유전자 변형 식품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수입량이 엄청남.
- 유전자 변형 기술의 동력은 강대국의 거대기업. 이들은 정부기관과의 유착을 통해서 식품산업을 규제, 조절하고 있음.
- 유전자 변형 식품은 소비자들의 알 권리도 무시된 채, 사람들의 입 속으로 들어가고 있다.
•GMO의 두 가지 미래
1. 긍정적인 미래
- 식물로부터 병의 치료약을 얻는다
- 과거와 다르게 기하학적으로 늘어나는 수확량
- 기능성 음식들의 개발
- 살충제 사용빈도 저하
2. 부정적인 미래
- 풍요가 아닌 빈곤
- 살충제 사용 빈도의 저하는 비현실적인 발상
- 전세계 식량 경제의 균형 붕괴
- 터미네이터 기술로 인한 소작농의 몰락
- 새로운 병원균, 질병, 알레르기
- 고가의 새로운 식품 → 빈(貧) 국민들의 영양 결핍
- GMO 항생제 내성 유전자 → 새로운 형태의 암(癌)
•유전자의 변형 과정
- 다른 식물이나 물고기, 곤충 등에서 어떠한 특성을 가진 유전자를 가져옴 → 촉진자(promoter)를 이용해서 유전자를 이식 → 새로운 성질을 가진 유전자를 변형 생물체가 탄생
•유전자의 변형 과정에 대한 논의
1. 유전자 이식 과정
- 유전자 이식 과정은 무작위의(Random) 과정임.
- DNA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유전자를 끼워 넣는다는 것은 불가능.
- 유전자가 DNA 내부에 어떻게 위치해 있는 지 아무도 알 수 없음.
2. 촉진자(Promoter)
- 촉진자는 주로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사용.
- 이 유전자의 역할은 새로운 단백직(Protein)을 만들어 내는 것.
- 새로 만들어진 단백질은 위험 → 인류가 한번도 먹어보지 못한 것.
3. 기술적인 결함 VS 피해 사례 無의 대립
- 필립 제임스 교수 : "모든 것이 전적으로 분명하고 안전하다는 생각은 지나치게 순진한 것. 지금 우리가 벌이고 있는 일에 대해 전체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유전자 변형 옹호론자의 입장 : 이 기술로 인해 피해 본 사람들이 없다. 여태까지 아무러 피해가 없었다.
•GMO의 위험성에 대한 논의
1. 1990년, 생명공학산업에 의해 대두된 위험성에 대한 회합
- FAO, WTO 그리고 OECD 세 국제기구가 모여 논의. 생명공학회사의 대표는 참여했재만, 소비자 단체는 참여하지 않음.
2. 회합은 생명공학회사에게 유리한 쪽으로 합의점을 찾게 됨
- GMO에 대한 국제적 인가를 받기 위해서는 일반 자연적인 식품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야 함.
3. 실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의 개념으로 인가를 받게 됨.
- "유전자 변형 식품이 기존 식품과 다르긴 하지만, 어는 정도만 다르다."
- "화학적 구성이 유사하다면 시판해도 문제 없다."
•GMO, 정말 안전한 것일까?
1. 실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의 개념에 대한 비판
- ‘실질적 동등성’은 비과학적인 개념. 상업적,정치적 판단이 과학적 판단인양 통용되는 것.
- ‘규제를 마련할 때, 공중보건보다 회사의 이익이 우선시 됨. 실질적 동등성의 개념은 정치적’
2. 영국 식품 안전청(FSA) ‘GMO가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
- GMO 식품은 발전 정도에 따라 1세대, 2세대, 3세대로 분류하기도 함. (RAFI, 2OOO)
•GMO의 실태
- 현재 GMO 식품의 3/4 가량이 모두 미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나머지는 아르헨티나와 캐나다에서 생산 됨.
- 현재 한국 내의 콩과 옥수수는 대부분이 유전자 변형 식품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수입량이 엄청남.
- 유전자 변형 기술의 동력은 강대국의 거대기업. 이들은 정부기관과의 유착을 통해서 식품산업을 규제, 조절하고 있음.
- 유전자 변형 식품은 소비자들의 알 권리도 무시된 채, 사람들의 입 속으로 들어가고 있다.
•GMO의 두 가지 미래
1. 긍정적인 미래
- 식물로부터 병의 치료약을 얻는다
- 과거와 다르게 기하학적으로 늘어나는 수확량
- 기능성 음식들의 개발
- 살충제 사용빈도 저하
2. 부정적인 미래
- 풍요가 아닌 빈곤
- 살충제 사용 빈도의 저하는 비현실적인 발상
- 전세계 식량 경제의 균형 붕괴
- 터미네이터 기술로 인한 소작농의 몰락
- 새로운 병원균, 질병, 알레르기
- 고가의 새로운 식품 → 빈(貧) 국민들의 영양 결핍
- GMO 항생제 내성 유전자 → 새로운 형태의 암(癌)
•유전자의 변형 과정
- 다른 식물이나 물고기, 곤충 등에서 어떠한 특성을 가진 유전자를 가져옴 → 촉진자(promoter)를 이용해서 유전자를 이식 → 새로운 성질을 가진 유전자를 변형 생물체가 탄생
•유전자의 변형 과정에 대한 논의
1. 유전자 이식 과정
- 유전자 이식 과정은 무작위의(Random) 과정임.
- DNA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유전자를 끼워 넣는다는 것은 불가능.
- 유전자가 DNA 내부에 어떻게 위치해 있는 지 아무도 알 수 없음.
2. 촉진자(Promoter)
- 촉진자는 주로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사용.
- 이 유전자의 역할은 새로운 단백직(Protein)을 만들어 내는 것.
- 새로 만들어진 단백질은 위험 → 인류가 한번도 먹어보지 못한 것.
3. 기술적인 결함 VS 피해 사례 無의 대립
- 필립 제임스 교수 : "모든 것이 전적으로 분명하고 안전하다는 생각은 지나치게 순진한 것. 지금 우리가 벌이고 있는 일에 대해 전체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유전자 변형 옹호론자의 입장 : 이 기술로 인해 피해 본 사람들이 없다. 여태까지 아무러 피해가 없었다.
•GMO의 위험성에 대한 논의
1. 1990년, 생명공학산업에 의해 대두된 위험성에 대한 회합
- FAO, WTO 그리고 OECD 세 국제기구가 모여 논의. 생명공학회사의 대표는 참여했재만, 소비자 단체는 참여하지 않음.
2. 회합은 생명공학회사에게 유리한 쪽으로 합의점을 찾게 됨
- GMO에 대한 국제적 인가를 받기 위해서는 일반 자연적인 식품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증명해야 함.
3. 실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의 개념으로 인가를 받게 됨.
- "유전자 변형 식품이 기존 식품과 다르긴 하지만, 어는 정도만 다르다."
- "화학적 구성이 유사하다면 시판해도 문제 없다."
•GMO, 정말 안전한 것일까?
1. 실질적 동등성(Substantial Equivalence)의 개념에 대한 비판
- ‘실질적 동등성’은 비과학적인 개념. 상업적,정치적 판단이 과학적 판단인양 통용되는 것.
- ‘규제를 마련할 때, 공중보건보다 회사의 이익이 우선시 됨. 실질적 동등성의 개념은 정치적’
2. 영국 식품 안전청(FSA) ‘GMO가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
- 삽입된 유전자에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 삽입된 유전자가 만들어 내는 단백질이 사람에게 유해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 동식물의 본래 유전자가 발현되는 방식이 삽입된 유전자에 의해 바뀔 수 있다.
- 삽입된 유전자가 이 미생물의 활동을 바꾸어 놓을 수 있다.
- 새 유전자를 운반하는 미생물이 인체 장기 내의 미생물의 균형을 파괴시킬 수 있다.
- 삽입된 유전자가 밖으로 나갈 수 있고, 다른 미생물과 결합할 경우 유해해질 수 있다.
3. 노르웨이 트롬소(Tromso)대학의 테리에 트라빅 교수
- 다른 미생물과의 결합이 가장 염려스럽다.‘수평적 유전자 전이’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
① 전이 현상이 시작되면 멈출 방법이 없음. 실질적인 위험성 평가가 어려움.
② 유전자 전이 후, 유전자의 작용 형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
③ 이상 현상에 대한 감지와 확실한 감시 방법의 미 확립.
4. 사회 속의 과학 연구소(ISIS)
3. 노르웨이 트롬소(Tromso)대학의 테리에 트라빅 교수
- 다른 미생물과의 결합이 가장 염려스럽다.‘수평적 유전자 전이’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
① 전이 현상이 시작되면 멈출 방법이 없음. 실질적인 위험성 평가가 어려움.
② 유전자 전이 후, 유전자의 작용 형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
③ 이상 현상에 대한 감지와 확실한 감시 방법의 미 확립.
4. 사회 속의 과학 연구소(ISIS)
- 전 세계 과학자들에게 유전자 재조합 농산물,식품,사료 재배를 최소 5년간 일시 정지할 것을 청원하는 서명 운동을 벌임 → 2000.12, 전 세계 48개국 378명의 과학자가 청원서에 서명함.
- 연구소의 소장인 런던 개방대학 생물학 강사 마에완 호 박사 : “이러한 연구는 불충분한 기술이며, 과학적 신중성에 기반해서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한 번도 존재하지 않았던 생물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이 기술은 본질적으로 위험하다.”
•GMO의 실제 피해 사례
1. 유전자 재조합 소 성장 호르몬 (rBGH)
- 연구소의 소장인 런던 개방대학 생물학 강사 마에완 호 박사 : “이러한 연구는 불충분한 기술이며, 과학적 신중성에 기반해서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한 번도 존재하지 않았던 생물을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이 기술은 본질적으로 위험하다.”
•GMO의 실제 피해 사례
1. 유전자 재조합 소 성장 호르몬 (rBGH)
- 미국 식품 의약 안전청(FDA)의 허가로 미국 소의 1/3에게 매주 호르몬 주사 투여 → 모든 미국인들은 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을 통해 rBGH를 섭취
- 캐나다의 경우, FDA 측에서 나타나지 않았다던 부작용이 rBGH를 먹인 쥐에게 나타남.
- 유럽은 rBGH를 투여한 소에게 암세포 소멸을 방해, 암 세포를 촉진 시키는 IGF-1이 과다분비 되었다는 이유로 불허가 방침을 내놓음.
2. 보조 영양 식품 ‘트립토판 (Tryptophan)’
- 1980년대, 일본의 생명공학 회사 ‘쇼와 덴코’에서 새로운 개발 방식을 시도 → 유전자 조작을 통해 박테리아를 변형시켜서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데 성공함.
- 트립토판이 판매된 지 몇 달이 채 되지 않아 37명 사망, 1500명이 불구가 되었음 → 원인은 바로 EMS라는 독소 때문이었음.
•GMO를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
1. WTO의 존재는 GMO에게 어떤 의미?
- 캐나다의 경우, FDA 측에서 나타나지 않았다던 부작용이 rBGH를 먹인 쥐에게 나타남.
- 유럽은 rBGH를 투여한 소에게 암세포 소멸을 방해, 암 세포를 촉진 시키는 IGF-1이 과다분비 되었다는 이유로 불허가 방침을 내놓음.
2. 보조 영양 식품 ‘트립토판 (Tryptophan)’
- 1980년대, 일본의 생명공학 회사 ‘쇼와 덴코’에서 새로운 개발 방식을 시도 → 유전자 조작을 통해 박테리아를 변형시켜서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데 성공함.
- 트립토판이 판매된 지 몇 달이 채 되지 않아 37명 사망, 1500명이 불구가 되었음 → 원인은 바로 EMS라는 독소 때문이었음.
•GMO를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
1. WTO의 존재는 GMO에게 어떤 의미?
- WTO의 존재는 국가 간의 벽을 허물었다 → 자유로워진 무역
▶ GMO의 자유로운 수업이 가능해졌다.
2. Globalization과 초국적 기업
- 선진국의 기술 독점 → 초국적 기업의 종자회사 합병
- 몬산토(Monsanto) 社 : 세계 최대의 식물 종자회사
- 터미네이터 기술(Terminator Technology) 과 트레이터 기술(Traitor Technology)
▶ GMO의 자유로운 수업이 가능해졌다.
2. Globalization과 초국적 기업
- 선진국의 기술 독점 → 초국적 기업의 종자회사 합병
- 몬산토(Monsanto) 社 : 세계 최대의 식물 종자회사
- 터미네이터 기술(Terminator Technology) 과 트레이터 기술(Traitor Technology)
▶ 초국적 기업의 생산권리 및 자본의 독점
•결론
- 초국적(다국적)농업 자본의 엄청난 경제적 이익, 그러나 생태적 문제, 환경 상의 문제 ,건강 문제 등은 고스란히 해결해야 될 과제로 남게 된다.
- 선진국은 유기농 농산물을 먹게 되고, 개발 도상국이나 빈민국들은 GMO 농산물을 먹게 됨. 또 자연스럽게 GMO의 재배국이 되어 생태, 환경이 피폐해짐.
- 결국 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 선진국의 자본 독점은 점점 심해지고, 제 3 세계의 농업 자본은 영원히 경제적 예속 상태가 될 것이다.
•참고 문헌 목록
- 위험한 식탁 (존 험프리스, 홍한별 역, 2004, 르네상스) 中 '유전자 요정; 유전자 변형' 부분
- 시사 IN. 2008.7.5일자, 2008년 8월 2일자.
- 관련 기사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87578.html
- GMO 안전성 확보기술 개발.농촌 진흥청. 2004
•결론
- 초국적(다국적)농업 자본의 엄청난 경제적 이익, 그러나 생태적 문제, 환경 상의 문제 ,건강 문제 등은 고스란히 해결해야 될 과제로 남게 된다.
- 선진국은 유기농 농산물을 먹게 되고, 개발 도상국이나 빈민국들은 GMO 농산물을 먹게 됨. 또 자연스럽게 GMO의 재배국이 되어 생태, 환경이 피폐해짐.
- 결국 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 선진국의 자본 독점은 점점 심해지고, 제 3 세계의 농업 자본은 영원히 경제적 예속 상태가 될 것이다.
•참고 문헌 목록
- 위험한 식탁 (존 험프리스, 홍한별 역, 2004, 르네상스) 中 '유전자 요정; 유전자 변형' 부분
- 시사 IN. 2008.7.5일자, 2008년 8월 2일자.
- 관련 기사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387578.html
- GMO 안전성 확보기술 개발.농촌 진흥청. 2004